★ Billy의 한국사 이해 40

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,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(4)

1919년 3월 1일 오후 2시. 태화관에 모인 민족대표 33인중 29인. 출처 http://cafe.daum.net/ycnambu 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,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그날 ,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, 인사동 태화관에서 한용운이 읽었던 기미 독립 선언서를 다시 한번 읽어 보았다. 어려운 한문으로 씌어 있으니 때로는 ..

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(3)

3.1절 노래 출처 http://blog.daum.net/kingkang2580/63 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,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3.1 운동에서 물론 유관순의 활약과 비극을 간과 할 수는 없을 것이다. 유관순은 천안군 목천면 지령리의 기독교 집안에서 1902년 3월 5일 태어났다. 이화학당의 학생이었던 유관순은 ..

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(2)

만세시위운동 주동자들을 학살하는 일본군 1919년 3·1운동 당시 종로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있는 시민들 출처 http://blog.daum.net/jjkkss6944/687 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,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이제 3.! 운동의 경과와 결과에 대하여 고찰해 보겠다. 일본 제국은 한일 합방으로 우리나라를 ..

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(1)

한민족이여, 92년전의 3.1절, 그 함성 그 절규를 정녕 잊었는가 세계는 바야흐로 글로벌 시대에 접어들어 어느 나라도 독자적인 발전을 추구하기에는 한계를 갖는 시대가 되었다. 그러기에 대륙간의 블록 경제권이나 국가간의 자유 무역 협정(FTA)을 추진하여 상호 윈 윈의 공동 발전 목표를 추구하는데 ..